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사업
- 복지·인구정책
- 인구정책·가족
-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사업
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English_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Chinese_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Vietnamese_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Cambodian_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English_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Chinese_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Vietnamese_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Cambodian_인구정책 통합안내서 다운로드
임신 지원
예비ㆍ신혼부부 및 임신부 무료 건강검진
- 지원대상
- 예비ㆍ신혼부부 : 신혼부부 중 한 명 이상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광주시로 등재되어있고, 결혼 예정 혹은 결혼 후 첫 임신 계획 중인 부부(1회 한정)
- 임신부
- 임신 초기 검사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광주시로 등재되어 있는 임신 12주 이내 임신부
- 분만 전 검사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광주시로 등재되어 있는 임신 34~36주 임신부
- 구비서류
- 예비부부 : 신분증, 결혼증명서(청첩장, 예식장 계약서 등)
- 신혼부부 :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등본 상 별도 거주 시)
- 임신부 : 신분증, 산모수첩
- 검사항목
모바일 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검사항목 - 구분, 예비·신혼부부(남자/여자), 임신 초기 검사, 분만 전 검사(막달검사)순으로 안내합니다. 구분 예비·신혼부부 임신 초기 검사 분만 전 검사
(막달검사)남자 여자 혈액 및 소변검사 빈혈검사, B형간염 항원∙항체검사, 매독검사, 에이즈검사, 소변검사 빈혈검사, B형간염 항원∙항체검사, 풍진 항원∙항체검사, 매독검사, 에이즈검사, 소변검사 빈혈검사, B형간염 항원∙항체검사, 풍진 항원∙항체검사, 매독검사, 에이즈검사, 소변검사 전혈검사(CBC), B형간염 항원∙항체검사, 간기능, 신장기능, 매독, 에이즈, 공복혈당, 소변검사 방사선검사 결핵(흉부 x-ray) 결핵(흉부 x-ray) - - - 검사결과확인
- 보건소 방문 또는 온라인 민원서비스 공공보건포털에서 결과 확인
- 검사결과 이상 시 진료실과 연계하여 상담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4767, 4657)
기형아 검사비 지원
- 지원대상 : 검사일 기준 주민등록상 관내 주민인 임산부
- 지원내용 : 임신 12주~20주 사이에 검사한 기형아 검사비 중 본인부담금 최대 3만원 지원
- 지원절차 : 병원에서 기형아 검사 후 검사비를 납부하고 보건소에 검사비 지원 신청(검사일로부터 6개월 이내 검사비 청구)
-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접수
- 신청서류 : 병원진료비영수증(원본) 및 진료비세부내역서, 주민등록등본(신청일 발급본), 산모수첩, 신분증, 통장사본(산모)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4767)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 지원대상
- 지원자격 : 난임부부로 의학적 진단을 받은 광주시민
※ 2019.10.24. 사실혼 부부까지 지원 가능
※ 기준중위소득 180% 초과하는 경우, 부부 모두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광주시에 거주하여야 함
- 지원자격 : 난임부부로 의학적 진단을 받은 광주시민
- 지원내용
- 지원범위 : 일부·전액본인부담금의 90%
비급여는 약제비 20만원, 배아동결 및 보관비 30만원 - 지원횟수 : 신선 9회, 동결 7회, 인공 5회 (총21회)
- 지원내용
모바일 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내용 - 적용대상 연령(여성 기준), 만44세 이하, 만45세 이상 순으로 안내합니다. 적용대상(연령 여성 기준) 만44세 이하 만45세 이상 체외수정 신선배아 최대 110만원 최대 90만원 동결배아 최대 50만원 최대 40만원 인공수정 최대 30만원 최대 20만원
- 지원범위 : 일부·전액본인부담금의 90%
- 신청방법 : 정부24 온라인 신청, 보건소 방문접수
- 신청서류
- 진단서(정부지정 난임시술의료기관의 난임시술의사가 발급)
- 신분증(대상자 및 배우자)
- 가족관계증명서(부부가 주민등록상 주소가 다르거나, 다문화가정일 경우)
※ 사실혼 경우 방문 전 전화 必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4767)
임산부 엽산제ㆍ철분제 지원
- 지원대상 및 내용
- 엽산제 : 임신 12주 이내 임산부 및 유배우자 가임여성에게 3개월분 지급
- 철분제 : 임신 16주 이상 임산부에게 6개월분 지급
※ 주수에 따라 차등지급
- 구비서류
- 유배우자 가임여성 :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 임산부 : 신분증, 산모수첩
- 신청방법 : 산모수첩 지참 후 보건소 방문 신청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4657)
임산부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교육대상 : 보건소에 등록한 임산부
- 교육내용
모바일 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임산부 교육 프로그램 교육내용 - 구분, 교육대상, 교육내용 순으로 안내합니다. 구분 교육대상 교육내용 임산부 출산준비 교실 임신 16주 이상 임산부 태교, 모유수유, 신생아돌보기, 산욕기 관리 토요 부부 육아 교실 임신 25주 이상 임산부 부부 모유 수유 및 신생아 돌보기 지도 순산을 위한 체조교실 임신 20주 이상 임산부 스트레칭, 요가, 호흡법 -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 및 전화예약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4767, 4657)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지원대상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의 임산부
- 질환기준 :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 받은 자
- * 조기진통, 분만관련출혈 및 중증 임신중독증, 양막의 조기파열,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절박유산,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분만 전 출혈, 자궁경부무력증, 고혈압, 당뇨병, 다태임신, 임신과다구토, 신질환, 자궁 및 부속기 질환, 심부전, 자궁내 성장제한
- 지원내용 : 19대 고위험 임신질환 입원치료비 중 비급여 진료비 1인당 300만원 한도 내 지원
-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접수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4650), 보건복지콜센터(☎129)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국민행복카드)
- 지원대상 :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 지원내용
- 국민행복카드 이용하여 임산부의 임신·출산 관련 진료 및 처방된 약제·치료재료의 구입에 대한 본인부담금(비급여 포함) 결제
- 영유아의 진료 및 처방된 약제·치료재료의 구입에 대한 본인부담금(비급여 포함) 결제
※ 임신 1회당 60만원 이용권(국민행복카드) 지원
※ 다태아 임산부는 100만원 지원, 분만취약지 20만원 추가 지원 - 신청방법 :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신청
- (방문신청)「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신청 및 임신확인서」를 병․의원에서 발급받아 전담접수처 또는 공단지사에 방문신청
- (온라인신청)
- ① 병․의원에서 임신확인정보를 요양기관정보마당 홈페이지 통해 입력
- ② 임신부가 카드사 홈페이지(BC,삼성,롯데카드)나 카드사(또는 은행)에 전화로 바우처 신청
- 제출서류 : 방문신청 또는 온라인신청
- ① 임신ㆍ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 및 임신확인서 1부(별지 2호 서식)
※ 신청서상의 임신확인란을 요양기관에서 기재 후 해당기관에 신청 - ② 가족이 신청하는 경우 : 본인(임신부)과의 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
※ 대리인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 ① 임신ㆍ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 및 임신확인서 1부(별지 2호 서식)
- 문 의 :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 보건복지콜센터(☎129)
청소년 산모 임신ㆍ출산 의료비 지원
- 지원대상 : 임신이 확인된 만19세 이하의 청소년 산모
- 지원내용 : 임신 1회당 의료비 120만원 이내 지원
- 신청방법 : 사회보장정보원 사회서비스바우처 홈페이지(www.socialservice.or.kr)에서 온라인신청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4650), 사회보장정보원 콜센터(☎1566-3232)
표준모자 보건수첩 제작ㆍ배부
- 지원대상 : 보건소 등록 임산부
- 지원내용 : 산전검진ㆍ예방접종 등 진료 일정관리 및 건강, 육아에 대한 유용한 정보 제공을 위한 수첩 배부
- 신청방법 : 보건소 방문(임산부 등록 시 배부)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4767), 보건복지콜센터(☎129)
임신부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 지원대상 : 임신부
- 접종백신 : 인플루엔자 4가 백신
- 접종기관 : 위탁의료기관
- 예방접종 지정 의료기관 확인 : 예방접종도우미(nip.kdca.go.kr)에서 오른쪽 바로가기 ‘지정의료기관찾기’검색
- 접종일시 : 매년 10~11월 중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2358)
영양플러스 사업
- 지원대상
- 지원자격 : 빈혈, 저체중, 성장부진 등 영양 위험요인이 있는 만6세 미만 영유아, 임신부, 출산부, 수유부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의 80% 이하인 가구
- 신청방법
- 시기 : 연중 매월 실시(예산 상황에 따라 수시 선발)
- 접수 : 전화 혹은 보건소 건강증진센터 방문
- 지원내용
- 내용 : 영양교육 및 상담, 보충식품 공급, 영양평가 등
- 보충식품 : 분유, 쌀, 달걀, 감자, 당근, 검은콩, 우유, 김, 미역, 귤, 닭가슴살통조림 등 (대상자 패키지별 상이)
- 수혜기간 : 6개월(재평가 후 연장 시 최대 1년)
- 내용 : 영양교육 및 상담, 보충식품 공급, 영양평가 등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건강증진과 건강증진센터(☎760-2549)
가임기 여성 풍진 무료 접종
- 지원대상 : 임신을 준비하는 가임기 여성
- 지원절차 : 예비․신혼부부 건강검진 결과 풍진항체 음성인 여성에게 풍진예방 접종 시행
- 접종장소 : 광주시 보건소
※ 코로나19 대응 업무로 인한 보건소 예방접종업무 임시 중단으로 업무 재개 시 접종 가능 - 문 의 : 광주시 보건소 감염병관리과(☎760-2358)
에너지바우처 지원 사업
- 지원대상 : 다음 2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가구
- (가구원특성기준) 임신 중이거나 분만 후 6개월 미만인 여성
- (소득기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생계급여 또는 의료급여 수급자
- 지원내용
- 하절기 : 가상카드 사용하여 전기요금 차감
- 동절기 : 실물카드, 가상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
- 실물카드 : 카드를 발급받아 전기, 도시가스, 등유, LPG, 연탄 등을 판매소에서 직접 결제하여 구매할 수 있는 방법
- 가상카드 :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신청하면 요금 고지서 수령 시 납부 요금이 자동 차감
- 신청방법 :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신청
- 신청기간 : 5월 ~ 12월
- 문 의 : 광주시 기업지원과(☎760-8415)
- 페이지 담당자
-
- 기획예산과 | 이광호 | 031-760-2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