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계획
- 건축·주택·부동산
- 경관디자인
- 디자인행정
- 본문 인쇄
-
sns
기본 경관계획의 목적 및 범위
- 계획의 목적
- 광주시 중·장기계획 및 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된 경관계획의 기본방향 내용 구체화
- 광주시 고유의 경관자원에 대하여 개성 있고 체계적인 경관 형성·관리
- 아름답고 매력 있는 쾌적한 도시생활 환경 및 공간 창조
-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경관 보전·관리 및 형성방안 수립
- 계획의 공간적 범위
- 광주시 전 지역 (430.96㎢)
- 계획의 시간적 범위
- 기준년도: 2011년
- 목표연도: 2020년
도시이미지 설정 및 형성전략
- 광주시의 대표적인 이미지군을 자연·인문·상징경관요소로 재구성하여 도시이미지 설정
- 관련계획의 목표상을 검토하여 연계성 있는 도시이미지 설정
이미지 크게보기

- 보전
맑고 푸른 자연경관 보전
유구한 전통경관 계승
- 팔당호, 전원형하천, 저수지 생태수변경관보전
- 검단지맥, 앵자지맥, 산림녹지축 자연경관 및 조망 보호
- 남한산성, 도자문화, 역사문화자원의 장소성 보호
- 관리
쾌적하고 정돈된 전원도시경관 형성
자연과 어우러진 청정도시 이미지 형성
- 경안·곤지암 시가지의 쾌적한 도시경관 형성
- 국도 3·43·45호선 가로경관 관리
- 성남-여주간 복선전철(예정)의 인공경관정비
- 형성
매력적인 역사문화 경관 창출
상징성 있는 특화 공간 형성
- 팔당호 수변특화경관 형성
- 광주시 진입부의 관문경관 형성
- 역사·문화자원의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상징성 제고
- 행정타운과 연계된 복합문화공간 조성
기본경관계획의 구성 및 경관계획
- 기본경관계획의 구성
- 유형별 경관계획
경관 유형별 경관 관리의 목표를 설정하고, 경관 보전·관리·형성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
경관유형 : 3경관권역 / 3경관축 / 5경관거점
- 3경관권역
- 생태역사문화관역
- 경안시가지권역
- 곤지암시가지권역
- 3경관축
- 산림·녹지경관축
- 수(水)경관축
- 도로·철도경관축
- 5경관거점
- 산림·녹지거점
- 수(水)거점
- 도로·철도거점
- 역사문화거점
- 조망경관거점
- 3경관권역
- 중점경관관리 구역
- 유형별 경관계획을 검토하여 중점적인 경관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중점관리구역으로 설정
- 경관중점관리 구역의 계획방향과 더불어 구체적인 실행수단(지역 · 지구 · 구역의 지정, 경관 사업의 추진, 경관협정 등)을 제시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경관중점관리 구역을 구분하여 대상, 기본방향으로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 대상 기본방향 수변경관중점관리구역 경안천 공공친수공간 조성 및 수변경관을 보호․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 곤지암천 전통역사중점경관관리구역 남한산성 문화재의 역사적 가치를 보호․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지역 시가지중점경관관리구역 경안시가지 광주시를 대표하는 중심지 경관 형성이 필요한 지역 곤지암시가지 도로중점경관관리구역 국도3호선 혼잡한 가로경관의 정비 및 관리가 필요하거나 팔당호와 어우러져 광주의 청정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는 지역 팔당호반길
- 페이지 담당자
-
- 도시재생과 | 권지혜 | 031-760-8679
- 최종 수정일
- 202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