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으로

역사ㆍ문화

메인으로
  • 곤지암
    곤지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리 453-20
    예전에는 주위에 연못이 있고 도로변에 있었으나, 도시개발에 밀려 지금은 쪼개진 바위와 400년 된 향나무만이 철책에 둘러져 곤지암 초등학교 옆 뒤안길에 가려져 있다.
  • 광주삼리구석기유적
    광주삼리구석기유적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삼리 11
    삼리 구석기 유적은 노곡천과 곤지암천이 서로 합류하는 서쪽 부분에 위치하며,
    유적 언저리에는 나즈막한 산줄기가 흘러내리고 있으며, 사철 메마르지 않은 물줄기가 발달하여 있다
  • 광주조선백자요지
    광주조선백자요지
    경기 광주시 퇴촌면 정지리 11-2
    경기도 광주는 조선왕실의 음식을 담당하는 관청인 司饔院 分院이 설치되어 1467년부터 1883년까지 운영되었다.
    현재까지 340여 기의 요지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국가사적 제314호로 지정되어 보존, 관리되고 있다.
  • 김균선생묘
    김균선생묘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능평리 산89-1
    김균선생은 조선왕조의 개국공신으로서 묘소는 오포 태현(台峴)에 위치하고 있으며
    공신묘로서 장방형묘에 화강암 묘위석(墓圍石)이 둘러져 있다.
  • 김자수선생묘
    김자수선생묘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신현리 산120-1
    고려의 유신(遺臣)이며 충신인 김자수선생의 묘소는 다사동에 안장되어 있으며,
    공의 유언에 따라 묘비를 건립하지 않다가 조선조 효종대에 이르러 7대손 찰방적(察訪績)의 발의에 따라 신도비를 마련하였으나 공의 유계(遺戒)가 지엄하였음을 반성하고 묘하에 묻어 두었다가 추후에 세웠다.
  • 남한산성 순교성지
    남한산성 순교성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446
    홈페이지 바로가기
    남한산성은 한양의 군사적 요지로 천주교 박해와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었는데, 이미 최초의 박해인 신해박해(1791년) 때부터 신자들이 남한산성에 투옥되었다는 전승이 내려오고 있으며, 신유박해 때에는 최초로 순교자 한덕운 토마스가 탄생하였다.
  • 남한산성행궁
    남한산성행궁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935-1번지
    홈페이지 바로가기
    남한산성행궁은 병자호란 이후 그 중요성을 더욱 인정받아 종묘와 사직에 해당하는 좌전과 우실이 행궁의 좌우에 설치되었다.
  • 만해기념관
    만해기념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92번길 24-7
    홈페이지 바로가기
    만해 한용운(1879~1944) 선생을 기리는 기념관으로 나라사랑의 독립정신, 문학정신과 그의 철학정신을 후세에 전하여 민족자존의 정신을 가슴에 심고자 설립하였다.
  • 망월사
    망월사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4
    인조대에 남한산성의 수축과 함께 건립된 다른 사찰과는 달리 예부터 망월암(望月菴)이 있었던 곳이라 남한산성의 9사중에 가장 고찰(古刹)이다.
  • 맹사성선생묘
    맹사성선생묘
    경기도 광주시 직동 산27번지
    선생은 공민왕 9년(1360) 전교부령 맹희도의 아들로 태어났다. 자는 자명(自明) 호는 고불(古佛).동포(東浦)이다.
  • 백련암부도
    백련암부도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추곡리 산25-1
    백련암 부도는 대화산 중턱에 있는 백련암 요사(寮舍)에서 동쪽 10여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가로 1.5m, 세로 1.5m, 두께 0.3m의 방형(方形) 지대석 위에 조성한 석종형(石鐘型) 부도이다.
  • 분원백자자료관
    분원백자자료관
    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 116-1
    홈페이지 바로가기
    2003년 개관한 분원백자자료관이 위치한 폐교 터는 1752년 조선의 마지막 관요가 설치되었다가 1884년 민영화 된 곳이다
  • 수도사목조보살좌상
    수도사목조보살좌상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방도리 634
    수도사 목조보살좌상은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 일군의 조각승 집단의 존재를 드러내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 수어장대
    수어장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815-1번지
    홈페이지 바로가기
    조선 인조 14년(1636)에 청나라가 침략해오자 왕은 이곳으로 피신하여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청군에 함락당하지 않고 47일이나 항전할 수 있었다.
  • 숭렬전
    숭렬전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717
    숭열전은 백제의 시조 온조왕과 산성 축성 당시 책임자였던 이서 장군의 영혼을 모신 사당이다.
  • 신립장군묘역
    신립장군묘역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리 406-3
    신립장군은 조선 명종(明宗)1년(1546)에 생원(生員) 화국(華國)의 아들로 출생하여 선조(宣祖)때의 무장(武將)으로서 임진왜란(1592)때 충주에서 순국(殉國)하였다.
  • 신익희생가
    신익희생가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서하리 160-2
    이 가옥은 해방 전후시기 대표적인 정치지도자로서 광복 후 제헌국회 부의장, 국회의장을 역임한 해공(海公) 신익희(申翼熙, 1894∼1956)의 생가이다.
  • 연무관
    연무관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400-1
    연무관은 군사들의 훈련을 위하여 건립한 곳으로 인조 2년(1624) 남한산성을 쌓을 때 함께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 우리절오층석탑
    우리절오층석탑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상림리 178번지
    우리절 오층석탑은 원 위치와 연혁이 불확실하다. 그러나 건축 양식을 볼 때 이 석탑은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을 계승하여 고려 전기에 세워진 석탑으로 추정된다.
  • 유정리석불좌상
    유정리석불좌상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유정리 222-7
    유정리 부락 가운데에 위치한 이 좌불상은 미륵불이며 부락의 수호신으로 신앙의 대상이 되어온 불상이다. 
  • 의안대군방석묘
    의안대군방석묘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엄미리 산152
    홈페이지 바로가기
    묘비에는 유명조선국오원조도공지묘(有名朝鮮國五原照悼公之墓)라 새겨져 있으나 세월이 500년 이상 흘러 심히 마모되어 알아보기 어려웠고 분묘도 황폐화 되어 있었으나 1998년도에 광주시에서 개수하였다.
  • 이택재와 안정복선생묘
    이택재와 안정복선생묘
    경기도 광주시 텃골길 49
    현재 일부 부재를 후대에 교체하면서 약간의 변화가 있지만 가구 구조나 기둥 크기 등은 조선후기 건축 기법이며, 전체적으로 안정복의 검약 정신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이택재의 용도를 알려주는 「덕곡서재월삭강회약」과 창건과 재건에 관한 기록, 「이택재중수기」 등의 사료가 전한다.
  • 일본군위안부 역사관&나눔의집
    일본군위안부 역사관&나눔의집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원당리 65
    홈페이지 바로가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세계 최초의 성노예 테마 인권 박물관으로서 잊혀져 가는 일본의 전쟁 범죄 행위를 고발하고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회복과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1998년 8월 14일 개관하였다.
  • 장경사
    장경사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26
    홈페이지 바로가기
    장경사는 성내에 존재했던 9개의 사찰 중 당시의 모습으로 남아 있는 현존하는 유일한 사찰이며, 남한산성 동문 안에서 동북쪽으로 약 350m거리의 해발 36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 정충묘
    정충묘
    경기 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326-4
    정충묘는 1636년 병자호란 때 쌍령리 전투에서 분투하다 전사한 장군 다섯 분을 모신 사당이다. 당시 남한산성으로 피신한 인조를 구하기 위해 북상하던 영남의 근왕병들은 이곳에서 청나라 군사들에게 선제공격을 당하였고 수많은 장병과 함께 전사하였다 한다.
  • 천진암성지
    천진암성지
    경기 광주시 퇴촌면 천진암로 1203
    홈페이지 바로가기
    퇴촌면 우산리에 위치한 앵자봉은 꾀꼬리가 알을 품고 있는 산세로 정상에 오르면 동쪽으로는 양자산이, 서쪽으로는 무갑산이 내려다보인다. 산은 667m로 높은 편은 아니지만 신유박해 때 가톨릭교도들이 박해를 피해 숨어들었을 만큼 산속으로 들어가면 갈수록 심산유곡에 들어선 듯한 느낌을 받는다. 한국천주교회의 발상지 천지암이 자리하고 있어 천주교인들에겐 잘 알려진 산이다.
  • 청량당
    청량당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815-2
    청량당의 건립시기와 목적은 정확하게 알려진 바 없으나,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청량당은 남한산성을 쌓을 때 동남쪽 축성의 책임자였던 이회(李晦)장군과 그의 부인의 넋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사당이다. 
  • 최항선생묘
    최항선생묘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마리 산11-1
    선생은 태종 9년(1409)에 출생하여 세종 16년(1434)에 알성시(謁聖試)에 장원급제하고 세종의 인정을 받아 즉시 집현전 부수찬에 임명되어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여 훈민정음 창제 집현전 8학사 중에 한분으로 지대한 공을 세웠다.

  • 침괘정
    침괘정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591-1
    침괘정은 무기제작소라 알려져 왔으나 온돌과 마루방, 회랑처럼 된 툇마루 등 건물 구조로 보아 집무실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 허난설헌묘
    허난설헌묘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산29-5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묘는 현재 묘역에서 약 500여m 오른쪽에 있었으나 서울~대전간 중부고속도로 개설로 인해 1985년 11월 24일 현 위치로 이전되었다.
    새로 조성된 묘역은 안동김씨 서운관정공파 종중에서 선영의 묘를 모두 이 곳에 이장하였는데 허난설헌의 묘는 이 가운데에서 맨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
  • 현절사
    현절사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310-1
    현절사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끌려간 대신들 중 끝까지 굴복하지 않고 참형을 당한 홍익한(1586~1637), 윤집(1606~1637), 오달제(1609~1637) 등 삼학사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